var isBool = true var number = 0 while isBool { print("origin number : \(number), ", terminator: "") number += 1 print("current number : \(number)") if number == 10 { isBool = false } } /* result : origin number : 0, current number : 1 origin number : 1, current number : 2 origin number : 2, current number : 3 origin number : 3, current number : 4 origin number : 4, current number : 5 origin num..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NBqw/btrw6gEfXQc/Nn03E8miPeGkVPixLkzazk/img.png)
1. 구글 firebase 콘솔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https://console.firebase.google.com 2. 프로젝트 추가를 선택합니다. 3.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합니다. 4. 다음을 선택합니다. 5. 프로젝트 화면에서 안드로이드 앱을 선택합니다. 6. 7. change project 8. build.gradle (Project : Boywin1992) // Top-level build file where you can add configuration options common to all sub-projects/modules. buildscript { repositories { google() mavenCentral() } dependencies { classpath "co
게시물 하단에 전체 코드를 입력하였습니다. 코드를 먼저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은 게시물 하단을 먼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게 되면 가장 먼저 다양한 설정값들을 입력 해야할 것입니다. 먼저 AndroidManifest.xml 파일부터 살펴보겠습니다. AndroidManifest.xml 파일에서 입력해야 하는 요소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권한 2. 백업 여부 3. firebase service 4. 해당 app 에서 web view 를 사용하는 경우 http url 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usesCleartextTraffic 값 입력 5. provider 등록 1. manifest 2. build.gradle (Module) plugins { id 'com...
// set : not allow duplicate value var strSet = Set() strSet.insert("100") strSet.insert("200") strSet.insert("300") strSet.insert("100") strSet.insert("200") strSet.insert("300") print(strSet) // result : ["100", "200", "300"] var strArr = ["100", "200", "300", "100", "200", "300",] print(strArr) // result : ["100", "200", "300", "100", "200", "300"] print(Set(strArr)) // result : ["200", "100"..
생명주기를 통한 웹뷰 쿠키 동기화 앱에서는 웹뷰의 쿠키 저장 시점을 알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생명 주기를 통한 웹뷰 쿠키 동기화를 진행해야 합니다. activity 가 소멸되기 직전에 호출되는 함수인 onDestroy() 함수에 아래 코드를 입력합니다. override fun onDestroy() { super.onDestroy() CookieManager.getInstance().flush() } 또한 onDestroy() 함수가 호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구형 단말기 이슈에 대비하기 위해 activity 가 잠시 멈추는 단계에서 호출되는 onPause() 함수에도 동일한 코드를 입력합니다. override fun onPause() { super.onPause() CookieManager.getI..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Z70PI/btrBOSZG7We/rfYryxQj8YDVKLT4xsrR11/img.png)
안드로이드 앱에 카카오 내비게이션을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순서는 아래와 같이 진행됩니다. Step 1. 프로젝트 생성 Step 2. 의존성 추가 Step 3. 인터넷 권한 설정 Step 4. GlobalApplication 클래스 생성 Step 4. 네이티브 앱 키 생성 Step 5. GlobalApplication 클래스 생성 시작하겠습니다. Step 1.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저는 kakao navigation 이라는 이름을 가진 프로젝트를 생성하였습니다. 참고로 아래에 제 안드로이트 스튜디오 버전을 올려놓겠습니다. 본인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 게시물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 OS] https://boywin1992.ti..
var arr001 = ["100", "200"] var arr002 = Array() arr002.append("100") arr002.append("200") var isSame : Bool = arr001 == arr002 print("isSame = \(isSame)") // result : isSame = true var strArr = Array() strArr.append("a") strArr.append("b") strArr.append("c") print(strArr) // result : ["a", "b", "c"] print(strArr.count) // result : 3 strArr.append(contentsOf: ["d", "e"]) print(strArr) // result ..
- Total
- Today
- Yesterday
- web view settings
- 안드로이드
- 영문 키보드
- logcat
- web view
- 화면 고정
- new project
- create new project
- javaClass
- 코틀린
- create project
- defaultInputmode
- Inputmode
- StringWriter
- custom web view
- 로그캣
- 외부 브라우저
- screenorientation
- simpleName
- kotlin
- 화면 방향 고정
- andorid
- 웹뷰
- Android
- permissions
- logtag
- check permissions
- android studio
- 클래스 이름
- web chrome view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